인텔리제이에서 Live Reload설정을 해보자
Live Reload란 코드를 수정했을 때 그게 웹에 바로바로 반영이 되는 확장 프로그램이다.
개발 시간을 상당히 많이 줄여주므로 반드시 설정해두자
setting => Build, Execution, Deployment => Compiler 에서 Build project automatically 를 체크해준다.
setting => Advanced Setting 에서 Allow auto-make to start... 를 체크해준다.
크롬에서 liveReload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해준다.
https://chromewebstore.google.com/detail/livereload++/ciehpookapcdlakedibajeccomagbfab
LiveReload++
Watches a port and reloads the page if needed.
chrome.google.com
후에 템플릿을 추가하면 아래 코드를 추가해야 liveReload가 적용이 된다.
application.properties에 추가해주자
spring.thymeleaf.cache=false
# 수정사항 생길시 자동 재빌드를 위한 코드
spring.devtools.livereload.enabled=true
spring.devtools.restart.enabled=true
#jar 파일로 배포시 주석처리
spring.thymeleaf.prefix=file:src/main/resources/templates/
build.gradle 파일에서 아래와 같은 라이브러리를 추가해준다.
dependencies {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
}
gradle 프로젝트를 reload 하고 프로젝트를 재시작 하자
크롬 좌측 상단에 liveReload 아이콘을 활성화 시켜주자
liveReload 설정이 완료되었다!
'[Spring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Boot] 컨트롤러 (1) | 2023.11.26 |
---|---|
[SpringBoot] 스프링 프로젝트 구조 (1) | 2023.11.25 |
[SpringBoot] 스프링부트 초기 설정 (IntelliJ) (1) | 2023.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