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업 내용32

[오라클] 계정 생성하고 권한 부여하기 (+ sql developer 글꼴 크기) DB를 사용하기 위해 오라클을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SYSTEM이라는 계정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SYSTEM계정을 실습에 사용할 수는 없으므로 같은 권한을 가지는 SCOTT 계정을 만드려고 한다. 1) cmd를 켜고 sqlplus를 입력한다. user-name에 SYSTEM을 입력하고 password에 오라클을 설치할 때 입력했던 tiger을 입력한다. (password 입력시 입력하는 글자가 보이지 않는다. 정상이다.) 2) 이제 관리자권한으로 접속한다. conn/as sysdba 를 입력해준다. 3) 생성할 계정 id와 pw를 입력한다. [id]에 사용할 id를, [pw]에 사용할 pw를 입력하면 된다. 나는 id는 scott, pw 를 tiger로 설정하겠다. (학원에서 실습한대로) create.. 2023. 9. 3.
트랜잭션 (Transaction) 최근에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개발자 지인을 만났다. 취직할 때 기술 면접에 대해서 이야기 하다가 얼마나 알고 있느냐고 트랜잭션에 대해 물어보셨다. 내 나름대로의 대답을 했다고 생각했으나, 내 대답에 만족하지 못하시는 것 같았다. 그러니 트랜잭션을 제대로 알고 가보자 Spring 태그에 글을 올린건 제대로 사용해본게 Spring을 쓸때가 처음이기 때문에 트랜잭션(Transaction 이하 트랜잭션)이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해서 수행하는 작업의 단위를 뜻한다.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킨다는 것은 질의어를 사용해 DB에 접근하는 것이다. (select, insert, update, delete 이런 구문을 DML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작업의 단위란 무엇일까. 단순히 질의어 한 문장이 하나의.. 2023. 8. 7.
MVC 패턴 controller와 service 차이 +) 내용 추가 예정 MVC 패턴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중, 문득 controller와 service는 무슨 용도로 분라해 놓는지가 궁금했다. (배웠을텐데 기억이 안났다.) 간단히 찾아보았을 때 둘을 굳이 구분짓는 이유는 기능의 모듈화를 위함이다. 기능을 서비스에 구현해 놓으면 큰트롤러를 변경할 일이 생겨도 서비스를 건드릴 필요가 없어진다. 그렇다면, 어떤 기능을 서비스에 구현해야 하는가? 구글링을 해보니 서비스 layer에 대한 글이 나왔다. 컨트롤러에서 하나의 Operation을 하기 위해 서비스의 기능을 모아두는 상위 layer를 만든다. 컨트롤러는 jsp와 백엔드 단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연결해주고, 그 기능들은 서비스 단에서 구현하는게 맞는 이해같은데 조금 더 찾아봐야 할 것 같다. 서비스에서 .. 2023. 8. 4.
var, const, let 의 차이 프로젝트 진행 중 팀원이 짠 코드를 보다 const, let 등의 변수 선언문을 보게 되었다. 나는 기본적으로 var 만 주로 사용했는데 구분해서 사용되어진 코드를 보고 차이점은 정리를 해두어야 겠다 싶었다. 차이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전역변수로 선언할 수 있는가, 재선언되거나 업데이트 될 수 있는가, 로 생각할 수 있다. var var은 전역 볌위로 선언할 수 있다. 즉, 함수 외부에서 선언시 함수 내 외부에서 전부 사용이 가능하다. (함수 내부에서 선언시 그 함수 내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또한 재선언과 업데이트가 자유롭다. 사용하기엔 가장 편하지만 생각 없이 쓰다보면 뜻밖의 결과가 출력될수도 있다. (오류로 보여주지 않기때문에 위험하다.) 변수 선언이 맨 위로 올라오는 매커니즘을 갖는다. (선언시 넣.. 2023. 8.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