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 내용32 [JSP] 04. 데이터 전달 개념 / 데이터 저장 공간 데이터 전달 개념 웹에서 다른 웹, 또는 서블렛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다 보면 같은 기능을 하면서 다른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들이 있다. getParameter getAtrribute 하는 역할은 같으면서 쓰이는 방식이 다르다. 둘의 차이점을 보자면 getParameter() 메서드는 무조건 String 타입을 리턴한다. getAtrribute()는 Object 타입을 리턴한다. 주로 빈 객체나 다른 클래스를 받아올때 사용된다고 한다. (아직 빈 객체나 클래스를 받아오지 않아서 둘의 개념을 햇갈리는게 아닌가 싶다.) 또한 getParameter()는 웹브라우저에서 전송받은 request 객체 영역의 값을 받아온다. getAtrribute()의 경우 request 객체 영역에서 setAtrribute() 된 n.. 2023. 5. 19. [JSP] 03. 서블릿 (servlet) 서블릿은 자바를 사용하여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서버측 프로그램 혹은 그 사양을 말한다. 자바 서블릿은 웹 서버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바 클래스의 일종이다. 서블릿 실행 호스트 이름:포트번호/프로젝트이름/서블릿 호스트이름:포트번호/ContextPath/URLMapping URLMapping의 기본 값은 서블릿 이름이다. 서블릿 이름 = 본명, URLMapping = 별명 (본명과 별명은 같을 수 있다! 보통 별명을 쓴다!) ex) localhost:8080/chapter03_servlet/Ex01_servlet 문법은 자바와 거의 유사하다. 자동완성으로 클래스 선언해주는거 잊지 말것 역할 : 서버에서 실행되다가 브라우저에서 요청을 받으면 해당 작업을 수행하고 결과를 브라우저로 전송 브라.. 2023. 5. 17. [JSP] 02. 기초 (페이지이동, 세션, out, 버퍼) 페이지 이동 페이지 이동이라고 적어놓았지만 이벤트 발생 시 다른 파일을 실행시키는 것과 같다. 그 과정을 모르는 사용자에 눈에는 페이지가 이동하는 것 같이 보인다. action 을 사용하여 이동할 페이지를 설정한다. 액션은 form 태그 내부에 설정할 수도, 이벤트 발생시 실행되는 함수에 적용시킬 수도 있다. 세션(session) 세션이란 웹 사이트의 여러 페이지에 걸쳐 사용되는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공간을 말한다. 단순히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만이 아니라 클라이언트 측의 모든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정보는 쿠키에 저장되고, 잘못된 데이터가 들어가면 서버가 안돌아 가기도 하니 필요한 경우 지워주어야 한다. parameter 와 attribute 차이 둘 다 request 객체를 통해 다른 파일의 데이터를.. 2023. 5. 17. [JSP] 01. 기초 (변수 출력/메소드 선언/데이터 전달 JSP는 HTML코드 상에서 자바 코드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다만 출력은 HTML상에서 적용되기 때문에 방법이 달라지는 것을 기억하자. 위와 같이 사이에 자바 코드를 입력한다. 화면에 변수 출력하기 2023. 5. 17.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